여성·가족 복지정책 10선-보건복지부 지원정책 시리즈 5탄

정부지원금신청하기
건강 &스포츠
티스토리 가기
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여성·가족 복지정책 10선



👩 여성·가족 복지정책 10선


18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저소득 한부모 가정에게 생계비, 주거비, 자녀교육비 등을 지원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일 경우 혜택 가능하며,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만 24세 이하 청소년 한부모에게 생계급여, 자립교육, 검정고시 지원비, 자녀양육비 등을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경제적 지원과 교육 병행이 가능해 조기 자립을 돕습니다.






국내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자녀 교육지원, 통·번역 서비스, 상담 등을 제공합니다. 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임신이 확인된 여성에게 최대 100만원(다태아 140만원)까지 진료비를 국민행복카드로 지원합니다. 산전검사, 초음파, 약제비 등에 사용 가능하며 카드사는 선택 가능합니다.



만 9세~24세 저소득 여성청소년에게 생리대 구매비용을 지원합니다. 국민행복카드에 월 1만2천원씩 포인트로 지급되며, 지정된 마트·약국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혼인신고 없이 자녀를 양육하는 미혼모·부에게 주거, 생계, 의료, 상담, 양육 프로그램 등을 지원합니다. 미혼모자가족복지시설에 입소하거나 지역 복지기관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아이돌봄, 가족상담, 부모교육, 맞벌이 가정 지원 등 다양한 가족형태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통합 운영 중입니다.



출산 후 우울증 위험이 있는 여성에게 상담, 심리치료, 정신과 진료비 일부를 지원합니다. 지역 보건소 또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며, 조기개입을 통해 치료율을 높입니다.



한부모 모자가정 또는 여성가장을 위한 임대주택 우선공급, 임대료 감면 등의 주거복지 제도입니다. 신청은 LH 또는 지자체를 통해 가능하며, 공공임대주택 우선순위를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 성폭력, 인신매매, 데이트폭력 등 위기 상황에 놓인 여성을 위해 24시간 상담 및 긴급보호, 쉼터 연계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전국 어디서나 전화 또는 방문 상담 가능합니다.



 

 

 

 

다음 이전